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꼭 해야하는
종합소득세 똑똑하게 신고하세요!
🌏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 “나는 직장인이니까 연말정산만 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많은 직장인들이 이렇게 생각하곤 해요. 하지만 상황에 따라 직장인도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할 수 있다는 사실! 소득이 ‘근로소득’ 외에도 있다면? 예를 들어 주식 배당, 부동산 임대, 기타소득 등… 그럼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1) 직장인이 배당소득을 많이 받는다면?
주식으로 배당받는 돈이 연 2,000만 원을 넘는다면?
👉 그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에요! 2,000만 원 이하일 땐 원천징수로 끝나지만, 그 이상은 따로 신고해야 해요. (배당소득이 일정 금액을 넘으면 5월에 꼭 신고하세요!)
2) 부업·프리랜서 수입이 있다면?
요즘 부업이나 프리랜서 일 하시는 분들 많죠? 직장인이면서 유튜브 수익, 쿠팡파트너스 같은 수입이 있다면?
👉 금액과 관계없이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에요.
직장인이 사업소득 발생 |
기타소득금액 300만원 초과 했다면 이자·배당소득 2,000만원 초과 했다면 주택임대소득 2,000만원 초과 했다면 |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근로소득에 합산해 신고하기 |
3) 퇴사 후 연말정산을 못 했다면?
중간에 퇴사하고 연말정산을 못 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그 경우 5월 종합소득세 기간에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해요. 원천징수영수증은 홈택스에서 쉽게 발급 가능하니 걱정 마세요.
📌 실천 팁: 홈택스에서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받고 5월에 꼭 신고하기!
✔ 종합소득세는 꼭 자영업자만의 문제가 아니에요
✔ 직장인도 추가 소득이 있다면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어요
✔ 5월엔 꼭 소득 내역 확인해보고 필요한 경우 신고하세요!
-------------------------------------------------------------------------------------------
[ 직장인이라도 종합소득세 꼭 신고해야 하는 경우는? ]
1. 과세기간 동안 두 곳 이상의 회사에 다닌(퇴직 후 이직 포함)근로자이면서 근로소득에 대해 한 곳의 회사에서 합산해서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2. 기타 소득이 300만원을 초과한 경우
3. 사적 연금소득이 1,200만원 이상인 경우
4. 금융 소득(이자·배당소득) 2,000만원을 초과한 경우
5.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
6. 사업소득(부동산 임대 소득 포함)이 있는 경우
7. 근로 소득만 있는 근로자임에도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퇴직 후 직장에 다니지 않는 등)